백준

C# 10431 - 줄세우기

Lavin 2024. 1. 31. 00:23
반응형

문제

초등학교 선생님 강산이는 아이들을 데리고 단체로 어떤 일을 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새로 반에 배정받은 아이들에게 키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다. 번호를 부여할 땐 키가 가장 작은 아이가 1번, 그 다음이 2번, ... , 가장 큰 아이가 20번이 된다. 강산이네 반 아이들은 항상 20명이며, 다행히도 같은 키를 가진 학생은 한 명도 없어서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아이들은 자기들의 번호를 인지하고 한 줄로 세우면 제대로 된 위치에 잘 서게 된다.

하지만 매년 첫 며칠간 강산이와 강산이네 반 아이들은 자기가 키 순으로 몇 번째인지 잘 알지 못해 아주 혼란스럽다. 자기 위치를 찾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강산이는 특별한 방법을 생각해냈다.

우선 아무나 한 명을 뽑아 줄의 맨 앞에 세운다.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학생이 한 명씩 줄의 맨 뒤에 서면서 다음 과정을 거친다.

  •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없다면 그냥 그 자리에 서고 차례가 끝난다.
  •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다면 그중 가장 앞에 있는 학생(A)의 바로 앞에 선다. 이때, A부터 그 뒤의 모든 학생들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한 발씩 뒤로 물러서게 된다.

이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오름차순으로 줄을 설 수가 있다.

아이들의 키가 주어지고, 어떤 순서로 아이들이 줄서기를 할 지 주어진다. 위의 방법을 마지막 학생까지 시행하여 줄서기가 끝났을 때 학생들이 총 몇 번 뒤로 물러서게 될까?

입력

첫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P (1 ≤ P ≤ 1000) 가 주어진다.

각 테스트 케이스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 T와 20개의 양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

20개의 정수는 줄서기를 할 아이들의 키를 줄서기 차례의 순서대로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.

모든 테스트 케이스는 독립적이다.


[정답]
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int p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
int answer = 0;
List<int> list = new List<int>();

for(int i = 1; i <= p; i++)
{
    // 값 초기화
    list.Clear();
    answer = 0;

    int[] input = Array.ConvertAll(Console.ReadLine().Split(), int.Parse);

    // 항상 20명, 테스트 케이스 번호 제외 , (1 <= 20) 반복
    for(int j = 1; j <= 20; j++)
    {
        // x > input[j]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의 개수 반환
        answer += list.Count(x => x > input[j]);
        list.Add(input[j]);
    }

    sb.AppendLine($"{i} {answer}");
}

// 출력
Console.WriteLine(sb);
반응형